jquery를 이용해 텍스트 블링크(blink) 만들기

간단히 jquery를 이용해서 블링크 텍스트를 만들어보자.
해보니, 굳이 움직이는 gif로 할필요없겠다. 경우에 따라서는 css를 이용해서 순간순간 블링크 텍스트 색상도맘대로 변경할수도 있고.

<span class='icn_new'>new</span>

//블링크 시작.
var icn_blink = setInterval(function(){
$('span.icn_new').fadeOut('slow').fadeIn('slow');
},2000);

//블링크 중지가 필요할경우,  
$('span.icn_new').mouseover(function(){clearInterval(icn_blink);});

적용되는 브라우져는
ie7.0이상, firefox, crome, opera 에서 이용가능하다. 

[리눅스 명령어] 폴더별 사용량보기

du

특정 디렉토리에서 하부디렉토리까지 포함한 디스크의 사용량을 보여준다.


[사용법]


du [Option] [Files]

* Option
-a  : 디렉토리에 있는 파일 하나하나의 크기를 출력한다.
-s  : 총 사용량만 표시한다. (간단하게 전체 용량을 확인할 때는 단순하게 이 옵션을 쓰자.)

 

du -s


-k  : KiloByte 단위로 표시한다.
-h  : 용량을 사람이 보기 가장 좋게 표시한다.

[예제]
'du -a' : 현재 디렉토리의 디스크 사용량을 파일단위로 모두 출력한다.
'du -s *' : 현재 디렉토리의 첫번째 단계까지만 디스크의 사용량을 출력한다.
              'du -h --max-depth=0 *' 와 동일
'du -h --max-depth=1 '

--max-depth=1 에서 마지막의 숫자는 폴더의 깊이이다.  

[리눅스] 서버 명령어 모음

<사용자 관련>

 adduser [계정이름] : 계정생성
 passwd [계정이름] : 해당계정의 비번변경
 userdel -r [계정이름] : 계정삭제 및 계정의 파일폴더 모두 삭제(-r)
 w : 현재 사용중인 사용자
 last : 최근 이용한 접속자

 

<파일/디렉토리>

 ll : 전체폴더구조 보기
 ls : 폴더구조 간단히 보기
 ls -al : 숨긴파일 까지 다 보기
 ls [디렉토리명] : 해당 디렉토리보기
 ls [파일명 또는 일부] : 해당되는 파일만 보여주기
 
 cd : 디렉토리 이동
 chmod 755 [디렉토리] : 파일권한변경 (내꺼, 같은그룹, 전체) 


 mkdir [디렉토리] : 디렉토리생성
 mkdir -p a/b : a디렉토리 생성후 하위에 b디렉토리 생성


 rm [파일명] : 파일삭제
 rmdir [디렉토리명] : 디렉토리삭제 (파일존재시 삭제 불가)
 rm -rf [디렉토리명] : 하위 디렉토리 및 파일 까지 모두 삭제 


 touch [파일명] : 해당파일의 수정일을 현재시각으로 변경(파일없을시 빈파일 생성) 


 cp [파일1] [파일2] : 파일1을 파일2로 복사
 cp -r [디렉토리1] [디렉토리2] : 디렉토리1을 디렉토리2로 하위폴더와 파일까지 복사
 cp -a [파일1] [파일2] : 소유권을 유지하면서 복사


 move [파일/디렉토리] [디렉토리] : 파일 및 디렉토리 이동
 
 cat [파일명] : 파일내용 출력
 cat /dev/cdrom > linux.iso : CD롬에 있는 내용을 CD 이미지 파일로 만듦
 cat a.txt >> b.txt : b.txt 파일 하단에 a.txt 파일의 내용 추가
 
 more [파일명] : 파일내용을 페이지단위로 출력 (space:다음페이지, b:이전페이지)
 
 ln [해당디렉토리 또는 파일] [링크이름] : 하드링크
 ls -s [해당디렉토리 또는 파일] [링크이름] : 심볼릭링크
 
 | : 파이프로 두개의 명령을 연결시켜줌
 (예: ls -l /usr/bin | more : ls에서 검색된 파일 폴더를 페이지별로 보여줌)
 
 파일권한 (자신/그룹/나머지: 4:읽기, 2:쓰기, 1:실행)
 chown -R ohhappy.wheel /home/ohhappy/* : /home/ohhappy하위의 모든 파일 디렉토리의 소유자를 ohhappy로 그룹을 wheel로 변경
 
 mount -t iso9660 /dev/cdrom /mnt/cdrom : cdrom 마운트
 mount -t vfat /dev/fd0 /mnt/floppy : floppy 마운트
 umount /dev/cdrom 또는 umount /mnt/cdrom


  
<검색>

 find [경로] -name [파일명] : 하위경로의 파일찾기
 /[찾을 문서명] : 문서나 메뉴얼안에서 문자찾기
 which [명령어] : 명령어의 절대경로를 알려줌
 whereis [명령어] : 명령어의 바이너리, 소스, 맨페이지위치 알려줌
 
  
<시스템/프로세스 관련>

 top : 시스템 프로세스 및 메모리 및 CPU 사용량
 uname -a : 운영체제,호스트명,커널버전,시스템부팅시간,아키텍쳐 보여줌
 uname -m : cpu 보여줌
 free -m : 메모리 보여줌(-m 메가단위, -k kb단위)
 df -h : 마운트되어있는 디스크 사용량
 du --max-depth=1 -h /home : 각 계정별로 이용량 확인
 lsdev : 현재 사용중인 장치정보
 w : 현재 사용중인 사용자
 last : 최근 이용한 접속자
 date : 현재 설정된 시간
 clock : Cmos에 설정된 시간
 rdate -s soback.kornet.nm.kr : soback.kornet.nm.kr에서 시간을 전송받아 시간 수정
 clock -w : cmos 시간으로 수정
 netstat -tu : 시스템에 연결된 소켓정보 
 ifconfig : 네트웍 장치설정 정보
  
 ps -[옵션]: 현재 시스템에서 구동중인 프로세스 상태확인
 (-a:전체사용자, -l:자세히보기, -x:제어터미널이 없는 프로세스, -f:pstree명령어와 같은 프리구조로 출력)
 (상태값: D:구동일시중지중, R:구동중, S:쉬는중, T:구동정지중, Z:좀비프로세스, W:메모리를 안쓰는 스와핑상태)
 ps auxfw -width=300 : 프로세스의 사용자 확인 (주로 | more 필요)
 pstree : 구동중인 프로세스를 투리구조로 보여줌
 
 kill -9 [프로세스번호] : 프로세스 강제종료
 killall -9 [프로세스이름] : 프로세스 강제종료
 
<시스템 종료>

 init0 : 시스템 종료
 halt : 시스템 종료
 reboot : 시스템 재부팅
 
 <압축>

 tar cvf [생성될 파일명:예 httpd.tar] [묶을 디렉토리] : 설정한 디렉토리를 포함한 하위 디렉토리 및 파일을 묶음
 tar xvf [묶인파일:예 httpd.tar] : tar파일을 현재 디렉토리에 품
 tar tvf [묶인파일:예 httpd.tar] : tar파일을 풀지 않고, 파일리스트만 출력
 tar cvfz [압축파일명 :예 httpd.tar.gz] [압축할 디렉토리] : 파일을 묶어서 압축함
 tar xvfz httpd.tar.gz : tar.gz 압축해제
 tar xvfj httpd.tar.bz2 : tar.bz2 압축해제
 
<ftp>

 quit : ftp 종료
 get : 다운로드 명령
 mget : 현재폴더내 모든 파일 다운로드
 mget -R * : 현재폴더 및 하위 폴더 파일 다운로드

locate(),position()함수

Return the position of the first occurrence of substring

mysql 함수 목록.

http://dev.mysql.com/doc/refman/4.1/en/string-functions.html

[linux 명령어]여러 파일 권한 한번에 바꾸기


여러파일 권한 바꾸기
 find ./ -type f -name 파일명 -exec chmod 777 {} \;
find 디렉토리시작위치 -type 타입구분(f=팡일 ,d=directory) -name 파일명 -exec chmod 권한 {} \;

위 명령을 이용하면, 디렉토리시작위치에서 하위에 있는 모든 디렉토리에 포함된 파일을 한번에 권한 설정을 해줄수 있다.

pdo로 prodcedure 사용시 잘못된 결과값을 보여줄때.

pdo를 사용해보려고, 서버 셋팅 및 기본 코딩을 잡아 보고 있던중에
스토어드프로시져(내부에 동적쿼리로 작성)를 사용중에 결과값이 잘못가져오는 경우가 발생.
결과값이 컬럼과 value가 제대로 매칭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했다.
웹 서버 버젼은 
- php  version 5.1.6
- mysql client API version 5.0.37 
이다.
이 환경에서 동적쿼리가 포함된 프로시져 사용시 결과값이 잘못 가져오는 경우가 생겨서 한참 고생했다. 구글링을 한참 하다 보니, PDO::ATTR_EMULATE_PREPARES 이부분을 프로그램에 적용후 해당 문제가 해결되었다.
정확한 이유는 모르겠으나, 대략적으로 쿼리 파싱을 PDO쪽에서 할건지 mysql서버쪽에서 할건지를 결정하는거 같다. 이부분을 동적쿼리인경우 PDO쪽에서 하도록 해줘서 해결된 문제다.(prepared를 client 또는 server쪽에서 하도록 정하는 부분인거 같은데, 서버쪽에서 하는것이 10%정도 더 효과가 있다고 한다.)
PDO에 대한 버젼에 따라서 이런 문제가 있지 않나 싶다.

프로그램 부분은

$dbh = new PDO('mysql:host=db서버;dbname=데이타베이스', '계정','비밀번호',array(PDO::MYSQL_ATTR_INIT_COMMAND => "SET NAMES euckr"));
$dbh->setAttribute(PDO::ATTR_EMULATE_PREPARES, true);

이렇게 해주면된다.
이부분이 없이 PDO사용이 가능하다면 빼주는것이 좋다고 한다. 

이걸 해결해 볼려고, 구글링을 하다가 찾은 여러 포스트중 아래 두개 포스트에서 많은 이해를 할수 있었다.(영문이라, 나름 이해하는라 힘들었음..ㅠㅠ)
http://wezfurlong.org/blog/2006/apr/using-pdo-mysql/
http://isp-control.net/ispcp/ticket/2402
인용 : 

The "ATTR_EMULATE_PREPARES" attribute allows to emulate the prepared queries for RDBMS that don't support this feature. By default, emulation is actives (ATTR_EMULATE_PREPARES == TRUE). That means that the queries will not be prepared by the Mysql Server (Server-Side) but by PDO (Client-Side). The final result is identical, all the parameters are automatically quoted and so, we have not problem with SQL injection in both cases.

Now, what is the subject here ? What the difference with the native and emulated support for prepared queries ?

Some RDBMS don't support prepared queries. That means that the queries will be prepared by PDO (

Client-Side

) and not by the Server (

Server-side

). The final result is the same but for performances reasons, it's better to use native support when it's possible. Indeed, for example, with Mysql, we can take 10 % free.

Th remaining problem with Mysql is that for versions prior 5.1.17 (in reality 5.1.21 for us), the prepared queries can't be cached. So, we have 10 % free but we lost 20 - 35 %...

That for why, the native support should be used when possible (only with Mysql server >= 5.1.21 (for us).

To resume, the parameter ATTR_EMULATE_PREPARES should be set to TRUE for Mysql server version prior 5.1.21 and to FALSE for other versions. By default the ATTR_EMULATE_PREPARESis set to TRUE.

TRUE: Support for prepared queries is emulated. FALSE: Support for prepared queries is not emulated. The native support is used.
 

나중에 서버 php버젼을 업그래이드 하게되면, 다시한번 살펴봐야겠다.


 

pdo_mysql 확장 모듈 올리기

pdo_mysql을 이용하기 위해서 pdo_mysql 확장모듈을 서버에 설치해보자.
(개개의 서버마다 서버 설정 및 모듈 설치 경로가 다를수 있으니, 이부분은 환경에 맞게 확인을 해서 설치를 한다.)

linux 웹서버에 로그인한후,
//pdo확장모듈을 다운받을경로로 이동
#cd /usr/local/src
//pdo확장모듈 최신 다운.
#wget http://pecl.php.net/get/PDO_MYSQL-1.0.2.tgz 
//압축해제.
#tar -xzvf PDO_MYSQL-1.0.2.tgz
//압축해제한 pdo모듈 dir로 이동.
#cd PDO_MYSQL-1.0.2
//phpize(php의 확장모듈을 올리는 유틸)위치 확인
#whereis phpize  (whereis로 못찾을경우 find -name phpzie 으로 찾아본다)
#/usr/local/bin/phpize
//php-config 위치 확인
#whereis php-config
//설치하기
#./configure --with-php-config=/usr/local/bin/php-config --with-pdo-mysql=/usr/local/mysql
#make
#makeinstall
//extension dir로 이동후 pdo_mysql.so 존재여부확인.
#cd /usr/local/lib/php/extenstions/no-debug-zts-2006613
#ls pdo_mysql.so

여기까지 pdo_mysql 확장모듈 설치가 끝났다.
이제 프로그램에서 실제로 사용하기 위해서 php.ini 추가를 해준다.

//php.ini에
#vi /usr/local/apache/conf/php.ini
extension=pdo_mysql.so 추가
//아파치 리스타트

이제 pdo를 맘껏 사용해보자...^^


*phpize ?
이건, php 확장 모듈을 php재컴파일을 하지 않고 설치해주는 유틸이란다.
사용방법은 위에 pdo_mysql 설치 예시에서 처럼,
phpize 실행 --> ./configure 환경설정 --> make 를 해주면된다고 한다.


mysql charset 문제로 한글깨질때. latian1 -> euckr

mysql 서버의 charset 문제로 한글이 깨져 보이는 경우가 있다.
이때, 테이블별로 charset을 변경해줘서 한글이 깨지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아래와 같이 하면, db전체를 dump받아서 변경하지 않아도 된다. 다만, 변경해야할 table이 많이면 좀 힘들것이다.

가정.
table : university , charset latin1
한글이 깨진 컬럼 : u_name

- 해당 컬럼을 binary 또는  blob 형식을 변경한다. (mysql메뉴얼의 의하면, binary형식으로 별도의 컨버젼이 일어나지 않아서 올바른 형전환을 할수 있다고 한다.... 참고, http://dev.mysql.com/doc/refman/5.1/en/alter-table.html)
- 해당컬럼을 다시 원래의 형식을 변경하고 collate를 원하는 형식으로 지정한다.
- 해당 테이블을 원하는 charset으로 변경한다.
ex)
alter
table university modify u_name blob; alter table university modify u_name varchar(150) collate euckr_korean_ci; alter table university convert to charset euckr;

이렇게 한후 조회를 해보면, 한글이 잘 보일것이다.

중복되지 않는 랜덤 숫자 가져오기

배열처리중 중복되지 않는 순번으로 출력시키기.
총 10개의 데이타중에 중복되지 않게 5개를 가져오기.

$total_cnt = 10;
$k_nums = range(0,$total_cnt-1);
shuffle($k_nums);                       
for($i=0;$i<$row_cnt;$i++){
    if($i>5)    break;
    $k=$k_nums[$i];        //랜덤 번호 가져오기.
    echo $k ."\t";
}

이런게 필요할때가 있다.
db에서 랜덤으로 뽑으면 좋겠지만, 그렇지 못한경우 위와 같이 하면 중복되지않게 출력을 할수 있다.

PDO 소개 및 예제

PDO에 대해서 소개해주는 곳이다.

http://docs.cena.co.kr/?mid=textyle&document_srl=11910
http://kr.php.net/manual/kr/book.pdo.php
http://www.phpwelt.net/handbuecher/korean/ref.pdo.html

--PDO설치하기.
http://www.barney.pe.kr/blog/1181
http://ezgreg.tistory.com/46

MySQLi VS PDO

원글 : http://wildchry.tistory.com/81

php5버전에 추가된 mysqli와 PDO에 관한 테스트를 찾아보았습니다.
역시 친절하게도 결과를 잘 올려놓은 사이트가 있네요.

대충 보니 mysqli가 select 속도가 더 빠르네요. insert 속도는 prepared statements를 아용할경우 pdo가 더 빠른것을 알수 있으나 왜 그런지는 잘 모르겠네요.^^; 어쨌든 insert 문에서는 Prepared Statements사용하는거를 고려해 보면 좋을듯 합니다.
그리고 다수의 insert를 할때는 MySQL의 extended inserts를 이용하면 훨신 빠르네요. 아무래도 Query문이 하나로 처리가 되니 그렇치 않을까 생각이 듭니다. 흥미로운 부분이네요....

mysqli를 사용하기 위한 php 컴파일 옵션은 2가지가 있는것으로 보이네요.
  --with-mysqli[=FILE]    Include MySQLi support.  FILE is the optional pathname 
                          to mysql_config [mysql_config]
  --enable-embedded-mysqli  MYSQLi: Enable embedded support

참조 :
http://dealnews.com/developers/php-mysql.html
http://brian.moonspot.net/2006/08/25/pdo-turbo-button/

MySQL - mysqli 를 사용할 수 없을때 멀티쿼리 및 MYSQL 내부 변수 선언 활용

원글 : http://www.lovelgw.com/Blog/143  

웹 개발시에  불필요한 내부 질의를 없애기 위해 MySQL 내부 변수를 활용하고 또, mysqli가 지원하지 않는 서버에서 멀티 쿼리를 이용하는 방법이다. 

실제적으로 mysqli_multi_query에서 사용하는 방식은 아니지만 해당 쿼리에 대한 질의를 버퍼링 하지 않고 그대로 다음 행으로 진행을 한다. 

내부 변수 사용은 질의 내용에서 사용되는 값이 계속적으로 질의 하거나 또는 서브쿼리를 지원하기 힘든 MySQL 4.0 이하 서버에서 활용 가능하다. 

내부 변수는 PHP에서의 커넥션 에서만 유효하다. 한 커넥션이 끊기면 그 이후에는 다시 선언을 해주어야 한다. 

내부 변수 활용으로 얻는 잇점은 활용면에서 많다.
01.// MySQL 내부변수를 초기화 시킨다.
02.$strQuery = 'set @nCnt = 0;';
03. 
04.// 질의 결과행을 버퍼링 하지 않는 mysql_unbuffered_query로 질의 한다.
05.mysql_unbuffered_query($strQuery, $rConn);
06. 
07.// 변수에 값을 넣는다.
08.$strQuery = 'select @nCnt:=count(fieldname) from tablename;';
09. 
10.// 질의 결과행을 버퍼링 하지 않는 mysql_unbuffered_query로 질의 한다.
11.mysql_unbuffered_query($strQuery, $rConn);
12. 
13.// 변수에 설정된 값을 이용해 질의 한다.
14.$strQuery= 'SELECT ROUND((count(fieldname) / @nCnt) * 100, 3) AS percent FROM tablename GROUP By fieldtype;';
15. 
16.// 결과를 출력한다.
17.$rRes = mysql_query($strQuery, $rConn);
18.while($arrTest = mysql_fetch_assoc($rRes))
19.{
20.var_dump($arrTest);
21.}
22.mysql_free_result($rRes);
ㅟ와 같이 PHP 에서 내부변수를 활용하는 방식이다. 위 예제는 전체 row수를 구한 후에 해당 타입에 대한 비율을 구하는 방식으로 SubQuery 를 이용하지 않고 내부 변수에 저장된 전체 row수를 이용해 비율을 구한것이다. 

보통 PHP에서 그 결과를 가지고 다시 계산하는 것 보다는 MySQL 에서 결과 값만을 가지고출력하는것이 전체적은 퍼포먼스에 더 좋은 성능을 나타낸다.
 

flash 대체 컨텐츠 처리하기.

브라우져 또는 기기에 따라서 플래쉬가 실행되지 않을때가 있다.
이때, 플래쉬를 대체할만한 컨텐츠를 추가해주면, 접근성이 향상이 된다.

아래 flash를 삽입해주는 스크립트를 참고한다.
function embedFlash(id, url, width, height, altText, flashVars, wmode) {
	if (!flashVars) flashVars = '';
	if (!wmode) wmode = 'window';
	if (!altText) altText = '';

	var str = '' +
	'<object classid="clsid:d27cdb6e-ae6d-11cf-96b8-444553540000" codebase="http://fpdownload.macromedia.com/pub/shockwave/cabs/flash/swflash.cab#version=9,0,115,0" width="' + width + '" height="' + height + '" id="' + id + '">' +
		'<param name="movie" value="' + url + '" />' +
		'<param name="wmode" value="' + wmode + '" />' +
		'<param name="FlashVars" value="' + flashVars + '" />' +
		'<!--[if !IE]>-->' +
		'<object type="application/x-shockwave-flash" data="' + url + '" width="' + width + '" height="' + height + '" name="' + id + '">' +
			'<param name="wmode" value="' + wmode + '" />' +
			'<param name="FlashVars" value="' + flashVars + '" />' +
		'<!--<![endif]-->' +
			'<div class="alt-content alt-' + id + '">' + altText + '</div>' +
		'<!--[if !IE]>-->' +
		'</object>' +
		'<!--<![endif]-->' +
	'</object>';
	document.write(str); 
} 

아래 블로그주소에서 더 자세한 설명과 여러가 대체방법에 대해서 설명이 되어 있다.
http://blog.wystan.net/2008/03/25/flash-alternative-content-and-noscript 

json 이란?

발췌 원문 : http://pjm0000.egloos.com/3605520

JSON 기초
 
JSON으로는 JavaScript 객체로 표현된 데이터를 한 함수에서 다른 함수로, 또는 비동기식 애플리케이션의 경우, 웹 클라이언트에서 서버 측 프로그램으로 쉽게 전달할 수 있는 스트링으로 변형할 수 있다. 문자열이 약간 이상해 보이지만 JavaScript에 의해 쉽게 인터프리팅 되고, JSON은 name/value 쌍 보다 복잡한 구조도 표현한다. 예를 들어, 단순한 키와 값 리스트 대신, 배열과 복합 객체들을 나타낼 수 있다.
 
 
1. JSON 예제
 
JSON에서는 name/value 쌍이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
 
이는 매우 기본적인 것이고, 텍스트의 name/value 쌍 보다는 더 많은 공간을 차지한다.
 
하지만, JSON은 여러 name/value 쌍들을 하나로 연결할 때 진가를 발휘한다. 우선, 다음과 같이, 여러 name/value 쌍으로 데이터 레코드를 생성할 수 있다.

{ "firstName": "Brett", "lastName":"McLaughlin", "email": "brett@newInstance.com" }

신택스의 관점에서 보면 name/value 쌍 보다 나은 점이 없어 보이지만, 이 경우, JSON은 훨씬 더 사용하기 쉬우며, 가독성도 놀랍다. 예를 들어, 위 세 개의 값들은 같은 레코드의 일부이다. 중괄호는 그 값이 같은 커넥션을 갖고 있다는 것을 표시하고 있다.
 
2. 값들의 배열
 
값을 나타내야 할 때, JSON은 보다 읽기 쉽고, 덜 장황하다. 예를 들어, 인명부가 있다고 해보자. XML에서는, 수 많은 오프닝/클로징 태그에 둘러싸이게 되고, 전형적인 name/value 쌍을 사용한다면, 독점적인 데이터 포맷을 사용해야 하거나, person1-firstName처럼 키 네임을 수정해야 한다.
 
JSON에서는 다음과 같이 괄호를 사용하여 레코드를 그룹핑 할 수 있다.

{ "people": [
  { "firstName": "Brett", "lastName":"McLaughlin", "email": "brett@newInstance.com" },
  { "firstName": "Jason", "lastName":"Hunter", "email": "jason@servlets.com" },
  { "firstName": "Elliotte", "lastName":"Harold", "email": "elharo@macfaq.com" }
]}

이해하기도 어렵지 않다. 이 경우, people이라는 하나의 변수가 있고, 값은 세 개의 아이템을 포함하고 있는 배열이며, 각각의 레코드에는 이름, 성, 이메일 주소가 있다. 위 예제는 레코드들을 모두 투입하는 방법과, 아이템을 괄호가 있는 싱글 값으로 그룹핑 하는 방법을 설명하고 있다. 물론, 같은 신택스를 사용할 수 있지만, 여러 값들(각각 여러 레코드들을 갖고 있음)을 갖고 있다.

{ "programmers": [
  { "firstName": "Brett", "lastName":"McLaughlin", "email": "brett@newInstance.com" },
  { "firstName": "Jason", "lastName":"Hunter", "email": "jason@servlets.com" },
  { "firstName": "Elliotte", "lastName":"Harold", "email": "elharo@macfaq.com" }
 ],
"authors": [
  { "firstName": "Isaac", "lastName": "Asimov", "genre": "science fiction" },
  { "firstName": "Tad", "lastName": "Williams", "genre": "fantasy" },
  { "firstName": "Frank", "lastName": "Peretti", "genre": "christian fiction" }
 ],
"musicians": [
  { "firstName": "Eric", "lastName": "Clapton", "instrument": "guitar" },
  { "firstName": "Sergei", "lastName": "Rachmaninoff", "instrument": "piano" }
 ]
}

여기에서 주목해야 할 점은 각각이 다수의 값을 내포하고 있는 많은 값들을 표현할 수 있는 당신의 능력이다. 또 하나 주목해야 할 점은 레코드의 name/value 쌍들은 다른 메인 항목(programmers, authors, musicians)에 따라 변한다는 것이다. JSON은 완전히 동적이고, JSON 구조 안에서 데이터를 표현하는 방식을 바꿀 수 있다.
 
또 한 가지 알아두어야 할 것은 JSON 포맷 데이터로 작업할 때 제약 조건이 없다는 점이다. 따라서, 어떤 것을 표현하는 방식을 바꿀 수 있고, 심지어는 같은 데이터 구조 내에서 같은 것을 다른 방식으로 나타낼 수도 있다.
 
3. JavaScript에서 JSON 사용하기
 
JSON 포맷을 다룬 후라면, JavaScript에서 이것을 사용하는 것은 간단하다. JSON은 네이티브 JavaScript 포맷이고, JavaScript 내에서 JSON 데이터와 작업하기 위해 특별한 API나 툴킷이 필요 없다.

4. JSON 데이터를 변수에 할당하기

예를 들어, 새로운 JavaScript 변수를 만들고, JSON 포맷 데이터 스트링을 여기에 직접 할당한다고 해보자.

var people =
  { "programmers": [
    { "firstName": "Brett", "lastName":"McLaughlin", "email": "brett@newInstance.com" },
    { "firstName": "Jason", "lastName":"Hunter", "email": "jason@servlets.com" },
    { "firstName": "Elliotte", "lastName":"Harold", "email": "elharo@macfaq.com" }
   ],
  "authors": [
    { "firstName": "Isaac", "lastName": "Asimov", "genre": "science fiction" },
    { "firstName": "Tad", "lastName": "Williams", "genre": "fantasy" },
    { "firstName": "Frank", "lastName": "Peretti", "genre": "christian fiction" }
   ],
  "musicians": [
    { "firstName": "Eric", "lastName": "Clapton", "instrument": "guitar" },
    { "firstName": "Sergei", "lastName": "Rachmaninoff", "instrument": "piano" }
   ]
  }


복잡하지 않다. people에는 이제 JSON 포맷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다.
하지만, 많은 것을 수행하지 않는다. 데이터는 여전히 유용한 포맷으로 되어있지 않다.
 
5. 데이터에 액세스 하기
 
위의 매우 긴 스트링은 단순한 배열일 뿐이고, JavaScript 변수에 그 배열이 있다면 쉽게 액세스 할 수 있다. 사실, 그 배열을 마침표로 구분할 수 있다. 따라서, programmers 리스트의 첫 번째 엔트리의 성(last name)에 액세스 하려면, JavaScript에서 다음과 같은 코드를 사용해야 한다.

people.programmers[0].lastName;

인덱싱은 '0' 부터 시작한다. 따라서, 이것은 people 변수에 있는 데이터로 시작한다. 그리고 나서, programmers라고 하는 아이템으로 이동하고, 첫 번째 레코드([0])에 액세스 한다. 마지막으로, lastName 키의 값에 액세스 한다. 결과는 "McLaughlin"이라는 스트링 값이다.

다음은 같은 변수를 사용하는 예제들이다.

people.authors[1].genre   // Value is "fantasy"
people.musicians[3].lastName  // Undefined. This refers to the fourth entry, and there isn't one
people.programmers.[2].firstName // Value is "Elliotte"
 
이 신택스로도, 다양한 JSON 포맷 데이터로 작업할 수 있고, 추가 JavaScript 툴킷이나 API가 필요 없다.

6. JSON 데이터 수정하기
 
위에 나타난 점과 괄호 표기법을 사용하여 데이터에 액세스 하듯, 같은 방식으로 데이터를 쉽게 수정할 수 있다.

people.musicians[1].lastName = "Rachmaninov";

문자열에서 JavaScript 객체로 변환했다면 변수에 있는 데이터를 수정하면 된다.

7. 문자열로 변환하기
 
물론, 모든 데이터 수정은 텍스트 포맷으로 쉽게 변환할 수 없다면 가치가 없다. 이것 역시 JavaScript에서는 간단하다.

String newJSONtext = people.toJSONString();

이것이 다이다.
원하는 곳 어디에서나 사용할 수 있는 텍스트 문자열이 생겼으니, 이것을 Ajax 애플리케이션에서 요청 스트링으로 사용할 수 있다.


훨씬 더 중요한 것은, 어떤 JavaScript 객체라도 JSON 텍스트로 변환할 수 있다. 원래 JSON 포맷 스트링으로 할당된 변수로만 작업할 필요가 없다. myObject라는 객체를 변형하려면, 같은 종류의 명령어를 실행하면 된다.


String myObjectInJSON = myObject.toJSONString();


이것이 JSON과 다른 데이터 포맷과의 가장 큰 차이이자, 이 시리즈를 통해 탐구할 주제이다. JSON에서는, 단순한 함수를 호출하면, 포맷팅 되어 사용하기에 알맞은 데이터를 얻을 수 있다. 다른 데이터 포맷의 경우, 미가공 데이터와 포맷 데이터간 변환은 여러분의 몫이다. Document Object Model 같이 데이터 구조를 텍스트로 변환하는 함수를 제공하는 API를 사용할 때도, 네이티브 JavaScript 객체와 신택스 보다는, API를 배우고 그 API의 객체를 알아야 한다.
 
많은 JavaScript 객체들과 작업할 때, JSON은 데이터를 서버 측 프로그램으로 요청을 보내기에 알맞은 포맷으로 쉽게 변환할 수 있다.



트위터 특정 url에 대한 트윗횟수 가져오기

트위터 공유기능 구현하다 보면, 트윗된 횟수를 보여줘야 할때가 있다.
이때, 트위터에서 기본 제공되는 공유버튼을 이용하면 되겠지만, 내맘대로 버튼모양을 바꾸고 싶다면,  아래 url로 공유하는 url을 대입해서 호출해주면, 트윗된 횟수를 알수 있다.
호출url:
http://urls.api.twitter.com/1/urls/count.json?url=http%3A%2F%2Fwww.daara.co.kr%2Fnews%2Fnews_view2.php%3Fidx%3D138891&callback=twttr.receiveCount

결과:
twttr.receiveCount (
{
}
)

결과는 json형태로 받을수 있으니, 적절해 값을 추출해서 사용하면 가능할거 같다.(트위터가 이 url을 변경하지 않는한....^^)

다만, 트윗을 할때 실시간으로 트윗횟수를 받을 없을거다.(트위터 공유창과 원본글이 존재하는 페이지의 도메인이 다른 문제(보안문제발생)로 트윗공유후 페이지 로딩없이 트윗회수가 올라가진 않을거이다.)
 

홈페이지 모바일 접속 구분해서 이동시키기

php에서.

// 웹브라우저 user agent 체크
if( preg_match('/(iphone|samsung|lgtel|mobile|android|blackberry|symbian|sony|ipod)/i', $_SERVER['HTTP_USER_AGENT']) ) {
   //모바일이면
   session_start();
    if($_GET[v]=="PC"){
        $_SESSION["useragent"] = "PC";
    }else{
        $_SESSION["useragent"] = "";
    }
    if($_SESSION["useragent"]!="PC"){
        echo"<script>location.href='http://m.daara.co.kr';</script>";
        exit;
    }
}

javascript에서
if(/lgtelecom/.test(ua) || /android/.test(ua) || /blackberry/.test(ua) || /iphone/.test(ua) || /ipad/.test(ua) || /samsung/.test(ua) || /symbian/.test(ua) || /sony/.test(ua) || /SCH-/.test(ua) || /SPH-/.test(ua)){
//이동처리
}

위에서 처럼 페이지 상단에 넣어주고 처리를 해주면된다.

facebook share 할때 description을 잘못가져가는 경우.

요즘 소셜 공유 기능이 대세다, 
그 기능을 붙이는 것은 소셜 api와, 또 여러 블로그, 카페등 인터넷에서 많이 도움이 되는 글들을 찾아볼수 있다.
이번에 소셜공유 버튼을 붙이다 보니, facebook share를 할때, 정보를 잘못읽어가는 경우가 자주 생겨서 여기저기 찾다가 답이 된ㄴ 글을 http://akrabbestari.blogspot.com/2011/01/facebook-share-wrong-description-by.html 에서 찾았다.

facebook share에서는 기본적으로 description meta tag에서 해당 정보를 찾아보고, 해당 정보가 없을경우, 페이지내에서 최소 120자 이상의 글을 가지고 있는 첫번째 paragraph(p tag)를 찾아서 거기에 있는 내용으로 공유 텍스트를 입력해준다는것이다.
(그 p tag안에 있는 내용은 tag를 포함하지 않아야 한다.)

암튼, facebook share를 할때 정확한 정보를 facebook에서 찾아갈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1. description meta tag를 이용하거나,
2. p tag 안에 html tag가 없는 내용을 120자 이상 넣어주면 된다.(단, 필요에 따라서는 display:none을 처리해서 감춰줘도 된다. 난 이렇게 했다.^^)

둘중 하나만 해줘도 제대로된 정보를 facebook이 읽어갈수 있다.

SSL 인증서를 도메인 별로 신청해야 하나요?


SSL인증서는 SSL서버가 돌아가는 웹사이트 주소별로 받는 것이 원칙입니다. 예를들어, www.a.com, secure.a.com 두 사이트에 SSL 서버를 설치하면 두개의 인증서를 신청해야 합니다.

그러나, 인증서의 신청은 여러분 회사의 SSL서비스 정책에 따라 달라집니다. 실제 SSL통신이 필요한 부분은 회원가입, 로그인, 정보수정, 전자상거래, 금융거래 개인정보 열람 등의 중요한 정보가 노출되는 부분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인 웹사이트 전체에 SSL 암호통신을 하다보면, 암호화된 데이터의 암호 복호화 시에 많은 서버부하를 주게 됩니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특정 서버에 위의 중요한 데이터 통신 부분에 대한 웹서버에만 SSL통신(https)을 서비스하고, 그 이후는 일반 웹통신(http)을 하도록 하는 것이 관례적입니다.

출처 : http://www.certkorea.co.kr/cs.asp?faq_ssl

트랜잭션 복제중에 'sp_replcmds'을 실행할 수 없습니다. 라는 오류 발생할때.

트랜잭션 복제중에 'sp_replcmds'를 실행할수 없다는 오류가 발생해다. (오류 번호 : 18759)
일단 뭔 내용인지 몰라서, help를 뒤져 sp_replcmds가 뭔지 부터 확인했다.

sp_replcmds 설명 내용중에 보면,
"텍스트 포인터가 같은 트랜잭션에서 검색되지 않아 sp_replcmds가 텍스트 명령을 복제할 수 없는 경우에는 경고 메시지 18759번이 Microsoft® SQL Server™ 오류 로그 및 Microsoft Windows® 응용 프로그램 로그에 모두 추가됩니다." 라는 오류 18759에 대한 내용이 있다.

이것을 참고로 해서 텍스트 포인터를 확인해 주는 textvalid()함수를 이용해서 , 복제중에 오류를 발생시키고 있는 table의 text, ntext, image 필드에 대한 텍스트 포인터 유효성을 확인 해보았다.
일부 데이타중에 텍스트 포인터가 유효하지 않은것이 있어 해당 필드들에 대해서 초기화(update시킴)를 시켜주고,
다시 복제를 초기화를 진행해 주었다.

계속 모니터링을 해봐야 하겠지만, 현재로서는 복제가 잘되고 있다.

복제 - 복제필드중 text, ntext, varchar(max), image 등에 대한 복제 문제 해결

복제를 구성하다보면,
text, image 필드 같이 큰값을 게시 해야 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경우 insert, update, writetext 또는 updatetext작업이 구성된 제한값을 초과해서 아래와 같은 오류를 발생시키기도 한다.

해결 방법은
서버 구성 정보 중에 "max text repl size" 매개 변수를 재설정해주면된다.

1. sp_configure 로 서버 구성확인

2. "max text repl size" 수정.

EXEC sp_configure 'max text repl size', 2147483647
Go
RECONFIGURE WITH OVERRIDE
Go